경제 이야기

스테이블 코인 관련주

2호점 관장 2025. 11. 17. 20:13
반응형

스테이블 코인 관련주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한 디지털 자산으로, 대부분 1달러 가치에 연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2025년 현재 디지털 자산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스테이블 코인 관련 인프라, 거래, 결제, 보안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스테이블 코인 자체를 발행하는 기업은 없지만, 블록체인·디지털 지갑·거래 인프라를 보유한 기업들이 “간접 관련주”로 묶여 시장에서 언급된다.

 

본 글은 국내 관련주 → 해외 관련주 순으로 정리한다.

 


1. 국내 스테이블 코인 관련주 (간접 연관 중심)

한국 상장 기업 중 스테이블 코인과 직접적으로 사업 연결이 있는 기업은 없다.
따라서 시장에서는 대부분 간접 테마주로 분류된다.


■ 1) 업비트 지분 간접 보유 기업

한국에서 스테이블 코인 거래가 이루어지는 주요 플랫폼은 업비트(두나무)다.
두나무는 비상장사이기 때문에, 지분을 일부 보유한 상장사가 “스테이블 코인·가상자산 테마주”로 언급된다.

대표 종목:

  • 한화투자증권
  • 우리기술투자

연관성의 근거:

  • 업비트는 스테이블 코인(USDT·USDC)의 국내 거래 허브
  • 거래량 증가 → 두나무 실적 → 지분 보유사 기대감
    따라서 거래량 기반의 간접 관련주로 분류된다.

※ 단, 두나무 관련주 = 스테이블 코인 직접 관련주가 아님
→ 정확하게는 “암호화폐 거래소 테마주”에 가까움.

 


■ 2) 디지털 지갑·전자서명·보안 인프라 기업

스테이블 코인은 디지털 지갑 기반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보안·지갑·인증 기술 기업들도 시장에서 관련주로 묶인다.

대표 기업:

  • 라온시큐어 (인증·전자서명·블록체인 DID)
  • 아톤 (모바일 금융 보안·지갑 기술)
  • 드림시큐리티 (전자서명·핀테크 보안)

연관성의 근거:

  • 스테이블 코인의 실제 발행과 직접 관련은 없음
  • 다만 지갑·보안 인프라 → 디지털 자산 서비스 활성화와 연결되어 간접 테마 형성


■ 3)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스테이블 코인 발행·유통의 기반 인프라 역할을 한다.

대표 기업:

  • 카카오(KAKAO) / 그라운드X(클레이튼)
    • 클레이튼에서 일부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가 운영되었으나 글로벌 대형 수준은 아님.

연관성의 근거:

  • 스테이블 코인 발행 가능성·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 시장에서 간접 수혜 테마로 언급
  • 직접적 수익 모델이나 파트너십은 없음

■ 4) 금융 인프라·핀테크 서비스 기업

스테이블 코인이 결제·송금 서비스에 도입될 경우 관련성이 언급되는 기업들이다.

예시:

  • 케이아이엔엑스(KINX) – 데이터센터·네트워크 인프라
  • 갤럭시아머니트리 – 디지털 결제 서비스
  • 비즈니스온 – 전자문서·전자계약 솔루션

이들 기업 역시 직접 관련보다는 디지털 금융 확장과의 간접 연결에 가까운 테마다.

 


2. 해외 스테이블 코인 관련 상장 기업 (직접 연관 중심)

해외에서는 스테이블 코인과 직접 사업적 연결이 있는 상장사가 존재한다.
특히 미국에서 스테이블 코인은 결제·송금·디지털 자산 인프라에 폭넓게 도입되며, 관련 기업들이 명확하게 구분된다.


■ 1) 코인베이스(COIN) — 가장 직접적인 관련주

  •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 USDC 발행사 Circle과 전략적 파트너십
  • USDC 준비금 일부 관리
  • 스테이블 코인 거래 수수료 및 커스터디 사업 직결

스테이블 코인 활성화 → 코인베이스 실적 향상이라는 구조가 명확해
글로벌 시장에서 스테이블 코인 관련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상장사다.

 


■ 2) 페이팔(PYPL)

  • 자체 스테이블 코인 PYUSD 발행
  • 발행은 Paxos가 담당, 유통·결제는 PayPal 생태계에서 지원
  • 미국 내 디지털 결제사 중 가장 적극적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실사용 서비스에 도입

→ 실질적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사용하는 결제 기업이라는 점에서 직접 관련주로 분류 가능.


■ 3) 블록(Block, SQ)

  • Cash App 및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반 송금 기능과 연결
  • 스테이블 코인 송금 기능 확대 가능성이 지속 언급
  • 현재 직접 발행은 없으나 “디지털 달러 결제 인프라”로 자주 묶임


■ 4) 글로벌 디지털 자산 ETF

스테이블 코인은 거래소·지갑·인프라 모두와 연관된다.
따라서 관련 ETF가 간접 관련주로 분류된다.

예시 ETF:

  • BITQ
  • BKCH
  • CRPT

이 ETF에는
코인베이스(COIN) / 마라톤(MARA) / 리엇(RIOT) / 하이브(HIVE) 등이 포함되어
스테이블 코인 거래 증가 → 인프라·거래소 수익 증가
라는 구조로 연결된다.


■ 5) 엔비디아(NVDA) — 간접

  • 스테이블 코인 직접 연관성 없음
  • 하지만 블록체인·AI 기반 금융 인프라 확장 시 GPU 수요 증가와 함께 언급
    → 정확히 말하면 “스테이블 코인 테마”라기보다 “블록체인 인프라 테마”


결론

  • 한국 상장사
    • 스테이블 코인을 직접 발행하거나 운영하는 회사는 없음
    • 대부분 거래소·보안·블록체인·핀테크 기반의 간접 테마주
    • 대표: 한화투자증권, 우리기술투자, 라온시큐어, 아톤, 드림시큐리티
  • 해외 상장사
    • 코인베이스와 페이팔은 스테이블 코인과 실질적으로 직접 연결된 기업
    • 그 외 기업들은 결제·보안·디지털 인프라를 통해 간접 연관
  • 테마주 해석 주의
    • 스테이블 코인은 발행사가 대부분 비상장
    • 실제 관련주는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와 기술적으로 연결된 기업” 중심
    • 정보는 사업보고서·공식 파트너십 기준으로 판단해야 함

반응형